삶을 살아가다 보면 때로는 우리 마음에 강한 인상을 남기는 사건들이 있습니다. 제 삶에도 그런 사건들이 많았습니다. 그 중 하나는 1989년에 에즈라 태프트 벤슨 회장님께서 말씀하신“교만을 조심하십시오.”라는, 시대를 초월한 권고를 들었을 때였습니다.벤슨 회장님은 교만이라는 주제 때문에 오랫동안 고심했다는 점을 말씀 서두에서 언급하셨습니다. 지난 몇 달 동안 저도 이와 비슷한 부담을 느꼈습니다. 성령의 속삭임은 벤슨 회장님이 21년 전에 전하신 이 메시지를 재차 강조하라고 제게 촉구했습니다. 모든 필멸의 존재는 누구나 어느 정도는 교만이란 죄와 관련된 경험을 합니다. 아무도 이를 피할 수 없으며, 극복하는 사람도 많지 않습니다. 아내에게 교만에 대해 말씀할 것이라고 이야기하자 아내는 웃으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이 아주 잘 아는 주제에 대해서 말하게 되었네요.” 벤슨 회장님께 영향력 있는 말씀을 들은 직후에 저는 한 가지 흥미로운 후유증을 발견했습니다. 얼마 동안 교회 회원들 사이에서는 자녀들이나 자기 나라가 “자랑스럽다”라는 말을 하거나 자기 직장에“자부심”을 느낀다는 말을 하는 것이 거의 금기시 되었습니다. 자랑, 자부심, 교만을 의미하는 “pride”라는 말은 우리 어휘에서 버림을 받은 것 같았습니다. 경전에는 선하고 의로운 사람들이 의 안에서 기뻐하면서 동시에 하나님의 선하심을 자랑한 예가 많습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도 그분의 사랑하는 아들을 소개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내 기뻐하는 자요” 앨마는 “하나님의 손에 든 도구가 될 수 있다는”생각을 자랑스럽게 여겼습니다. 사도 바울도 교회 회원들의 충실함을 자랑스러워했습니다.위대한 선교사 암몬은 자신과 형제들이 선교사로서 거둔 성공을 자랑스러워했습니다. 저는 어떤 일을 자랑으로 여기는 것과 교만해지는 것은 다르다고 믿습니다. 저는 많은 것들을 자랑스러워합니다. 저는 제 아내가 자랑스럽습니다. 제 아이들과 손자손녀들이 자랑스럽습니다.저는 교회 청소년들이 자랑스러우며 그들의 선함을 기뻐합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충실한 형제 여러분이 자랑스럽습니다. 저는 하나님의 거룩한 신권을 소유한 사람으로서 여러분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어서 자랑스럽습니다. (디이터 에프 우흐트도르프 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