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찬을 취하는 것과 성신의 동반을 받는 것의 밀접한 관계에 대해서는 계시된 성찬 축복문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떡을 취하면서 우리는 기꺼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받들고 항상 그분을 기억하며 그 계명을 지키겠다고 약속합니다. 우리가 그렇게 할 때 그분의 영이 항상 우리와 함께 하실 것이라는 약속이 주어지는 것입니다.(교리와 성약 22:77 참조) …
“여러분, 그리고 지도자들 가운데 침례 받은 후 죄를 짓지 않고 산 사람은 한 명도 없습니다. 우리에게 침례 후에도 좀더 깨끗해지기 위한 규정이 없다면, 우리 각자는 영적인 것을 잃고 말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성신의 동반하심을 받을 수가 없고, 최후의 심판 때‘영원히 버림을 받’(니파이전서 10:21)아야만 할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이따금 죄라는 더러움으로부터 깨끗해지도록 침례 받은 각 회원들을 위해 한 과정을 마련해 주셨으니 이 얼마나 감사할 일입니까. 성찬은 그러한 과정에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상한 마음과 통회하는 심령으로 죄를 회개하여 주님께 나아와 성약을 준수하며 성찬을 취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우리가 이러한 방법으로 침례 성약을 새로이 할 때, 주님은 우리가 침례 받을 때 깨끗해지는 것과 같은 결과가 새롭게 우리에게 나타나게 해주십니다. 이렇게 우리는 정결케 되며 그분의 영 또한 늘 우리와 함께 하시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의 중요성은 매주 성찬을 취하라고 하신 주님의 계명에서 더욱 분명해집니다. (댈린 에이치 옥스, 교리와 성약 59:8~9 참조)”(성도의 벗, 1999년 1월호, 38쪽)
'종교 > 침례·성찬·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행자가 회원으로 하여금 예배와 성약을 새롭게 하는 데 방해되는 그 어떤 일도 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0) | 2016.10.26 |
---|---|
너희를 위하여 버린 내 몸과 너희 죄사함을 위하여 흘린 내 피를 아버지께 기념하면서 (0) | 2016.10.26 |
성찬을 취하는 이러한 기회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의 가장 성스러운 의식의 하나 (0) | 2016.10.26 |
성찬의 축복 (0) | 2016.10.26 |
“모든 사람을 내게로 이끌어” (0) | 2016.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