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은 왜 원수를 사랑하고 악을 선으로 돌려주라고 당부하십니까? 그렇게 하 여 여러분이 유익을 얻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여러분이 어떤 사람을 미워한다고 해서, 그것이 그 사람에게 해를 입히지는 않습니다. 특히 그가 멀리 떠나 여러분 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오히려 그 증오심과 쓰라림은 여 러분의 용서하지 않는 마음을 천천히 파괴해 갈 것입니다. 베드로는 그에게 계속해서 죄를 범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는 주께 이렇게 물었습니다.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 주님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마태 복음 18:21~22) … … 그들이 회개하고 와서 무릎을 꿇고 용서를 구할 때, 우리 대부분은 용서할 수 있지만, 주님께서는 설령 그들이 회개하지도 않고 우리에게 용서를 구하지 않 을지라도 우리에게 용서할 것을 요구하셨습니다. … 동시에 앙갚음이나 복수 없이도 우리는 여전히 용서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이해해야 합니다. 이는 주님도 필요한 때에 우리에게 그리하실 것이기 때문입니 다. … 비통함은 그것을 지닌 사람에게 해를 미칩니다. 그것은 경직되게 하고 위 축시키며, 마음을 서서히 좀먹어 갑니다. 잘못은 사람이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저질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가 말하거나 행한 어떤 것을 잘못 해석하거나 오해하게 됩니다. 피해자는 그 잘 못을 자신의 마음속에 간직하고는 불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될 수도 있는 또 다 른 것을 그 잘못에 더하면서 자신의 결론을 정당화시킵니다. 피해자가 평화를 제 의해야 한다고 주님께서 요구하신 이유 중의 하나가 아마도 바로 이것 때문일 것 입니다. “그리고 만일 네 형제 또는 자매가 네게 죄를 범하거든 그 형제 또는 자매를 그 형제 또는 자매와 네 사이에서만 따로 만날 것이요, 그 형제 또는 자매가 고백 하면, 너는 화해할지니라.”(교성 42:88) … 우리는 그 명령에 따릅니까, 아니면 비통함 속에서 뾰로퉁하며 죄를 범한 사람 이 그것을 깨닫고 뉘우치면서 우리에게 무릎을 꿇을 때까지 기다립니까?12 우리는 부모님이나, 교사나, 감독에게 화가 날 수도 있고, 또 비통함과 증오의 독과 독약으로 위축되고 움츠러들면서 자기 자신의 가치를 축소시킬 수도 있습니 다. 미움을 받는 사람은 미워하는 사람의 고통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의 생활을 계 속해 나가지만, 미워하는 사람은 자신을 스스로 속이게 됩니다. … … 그저 지도자들을 괴롭히거나 상처 받은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 교회에서 활 동을 중단하는 것은 자신을 스스로 속이는 것입니다. “용서는 가정이나 와드에 조화와 사랑을 보증하는 신기한 힘을 지닌 요소입니다.” 오늘날 너무나 자주 나타나는 증오, 비탄감 및 복수의 불협화음 속에서, 용서 라는 부드러운 단어는 치유의 향유처럼 다가옵니다. 용서하는 사람에게 그 효과 는 아주 클 것입니다. (스펜스 더블류 킴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