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25:17. 성막과 그 내부 장식에도 금을 사용한 의미는 무엇인가? 17 정금으로 속죄소를 만들되 장이 이 규빗 반, 광이 일 규빗 반이 되게 하고 인간은 일찍부터 금을 매우 소중하게 여겨 왔으며 상징적인 의 미뿐만 아니라 금전적인 면에서도 이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금 은 경전에서 자주 신성하고, 순결하고, 귀중하고, 순수하고, 유 용하고, 부패하지 않고, 영원하며, 영광스러운 것의 상징으로 사 용된다.”(팰로우스, 성경 백과 사전, “금”, 2:723) 이 상징으로 미루어 보건대 증거궤에도 금을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은과 동도 성막과 그 내부 장식과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었다. 이 두 금속은 기능상의 의미와 상징적인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 다. 주다이카 백과 사전에 보면 이렇게 적혀 있다. “거룩함의 상대성은 물질에 의해 강조되었다. 순금은 궤, 증거 궤의 덮개, 탁자와 그 도구, 등잔 받침대와 그 장식품, 향단, 그 리고 대제사장의 옷에 사용되었다. 보통 금은 소조, 반지, 궤의 손잡이, 탁자와 향을 피우는 단의 손잡이, 커튼 고리, 장식테와 빗장, 베일과 휘장의 기둥, 그리고 대제사장의 옷의 다른 부분에 사용되었다. 은은 장식테의 바닥, 베일의 기둥, 안 마당의 소조 에 사용되었다. 동으로는 번제물의 단과 그 소도구, 안마당의 바 닥, 물두멍 등을 만들었다. 수놓은 천과 아마포에도 동일한 원리 가 적용된다.” “등급이라는 주제는 백성을 세 가지로 구분하는 일에서 계속 된다. 이스라엘 백성은 성막 마당에만 들어갈 수 있었다. 제사장 은 성소에서 봉사할 수 있었다. 대제사장만이 일 년에 한번 속죄 일에 지성소에 들어갈 수 있었다.”“( 성막”, 15:6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