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예수 ·속죄

나병환자가 깨끗해짐

by 높은산 언덕위 2015. 12. 6.

“레위기 14장”에는 나병을 치료할 때 행하는 의식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 의식의 본질상 많은 사람들은 그것을 이스라
엘 백성이 원시적이고 미신을 믿는 이교도라는 의견을 뒷받침해
주는 몹쓸 의식으로 여겼다. 그러나 위에서 밝힌 대로 상징을 해
석하기 위한 지침을 적용하며, 그 의식이 복음 진리를 아름답게
나타낸 것임을 알게 된다. 그러나 우선 의식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징의 참된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1. 나병환자. 여러 가지 형태의 나병은 살아 있는 육신이 썩
어 들어가는 질병이었다. 환자는 이스라엘 지파의 다른 사람들로
부터 떨어져 있어야만 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나병은 사람
이 죄를 지을 때 영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합당한 형태 또는 상징

으로 여겨졌다. 나병이 육신을 썩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죄는
영적인 면을 좀먹어 썩게 한다. 죄지은 자는 영적인 이스라엘로
부터 떨어져 나가 주님의 참된 성약의 백성이 될 수 없다. 그러
므로 나병환자는 베냐민 왕이“육에 속한 사람“(모사이야서 3:19
참조)이라 한 것과 같은 형태 혹은 유사성을 띠게 되었다.”
“2. 제사장. 제사장은 주님의 대표자로 봉사했다. 그는 나병
환자를 치료하여 본래의 완전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3. 두 마리의 새. 의식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생명체인 새는
후보자를 상징했다. 두 가지 진리를 가르치기 위해 두 마리의 새
가 있어야 했다. 첫 번째 새는 나병환자(육에 속한 인간)가 자신
의 생명을 버린다는 것을 상징하여 피를 흘리고 죽었다. 두 번째
새는 다른 상징물들과 함께 매여 있다가 풀려났다. 이것은 사람
이 죄의 속박에서 자유롭게 되었음을 나타냈다.
“4. 삼목 목재. 삼목 나무의 열매는 주위 물건의 부식과 부패
를 막는 힘 때문에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그래서 삼목나무는 부
패로부터의 보존을 상징했다.”
“5. 홍색실. 홍색(레위기 14:4)이라는 말은 빨강색으로 물들
인 나뭇 조각을 나타냈다. 붉은 색은 우리에게 피를 상기시킨다.
피는 생명의 상징이며 속죄의 상징이다.(레위기 17:11)”
“6. 우슬초.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구약전서 시대에
우슬초가 성결하게 함을 상징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출
애굽기 12:22; 시편 51:7; 히브리서 9:19 참조)”
“7. 물 그릇. 새의 피가 물과 섞였다는 것에 유의한다. 모세
서 6장 59절에서 우리는 피와 물이 탄생의 육체적, 영적인 상
징임을 알고 있다. 또한 침례탕이 영적으로 다시 태어나는 곳이
자 육에 속한 인간이 죽는 곳임을 알고 있다.(로마서 6:1~6; 교
성 128:12~13 참조) 물 그릇 위에서 육에 속한 사람의 죽음
과 영적으로 순전한 사람이 다시 태어나는 것을 상징하여 첫 번
째 새가 죽음을 당했다.”
“8. 나병환자를 씻음. 이것은 분명히 깨끗이 한다는 상징이었
다.”
“9. 털을 깎음.(눈썹까지 포함하여) 몸의 털을 미는 일은 본래
털이 없는 신생아와 같은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
다. 그러므로 상징적으로 새로 태어나는 과정을 거쳐서 당사자는
자신이 영적으로 새로 태어났음을 나타내 보였다.”
“10. 어린 양의 희생. 바쳐지는 양은 처음 태어난 흠없는 수
양이라야 했으므로 예표를 나타냄이 분명하다. 그것은 하나님의
아들의 바쳐짐을 상징하였다.”

“11. 피를 몸에 바르는 것. 대개“속죄”라고 번역되는 히브리
말은‘덮는다’는 의미이다. 제사장이 피를 가지고 무언가에 손을
댈 때, 그의 행위는 그것을 성결하게 하는 것이나 속죄를 나타내
는 것이다. 이 경우에 우리는 양의 피가 듣거나 순종하는 기관
(귀), 행하는 기관(손), 그리고 합당한 방법으로 따르거나 행하는
기관(발)을 성결하게 하는 것임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개인 생
활의 모든 면은 그리스도의 속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12. 기름.‘ 고대로부터 올리브 나무는 평화와 순결을 상징하
는 나무였습니다.’(조셉 필딩 스미스, 구원의 교리, 제3권, 155
쪽) 이런 이유와 올리브 기름이 성신의 상징이기 때문에(교성
45:55~57 참조) 기름에는 깊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기름으
로 손댄다는 것은 살아 있고 행하는 기능에 성령의 영향이 임한
다는 것을 나타냈다. 그리스도의 피는 사람들의 생애의 모든 면
을 깨끗하게 해주었다. 성령 역시 그가 행한 모든 일에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 과정이 기름으로 반복되었다. 이런
방법으로 그 사람은(감람나무와 그 열매가 상징하는) 화평과 청
결함을 받았다.(런드, “구약전서의 유형과 상징”, 심포지엄,
184~186쪽)